본문 바로가기

Study30

[WEEK4] 분기 명령어 분기의 형태 -조건부 분기의 예 분기는 앞으로(상위 주소),뒤로(하위 주소) 모두 이동 가능하다 BRP X (Branch if Positive): 결과가 양수이면 X로 분기 BRN X (Branch if Negative) : 결과가 음수이면 X로 분기 BRZ X (Branch if Zero): 결과가 0이면 X로 분기 BRO X (Branch if Overflow): 넘침이 발생하였으면 X로 분기 -비교와 분기를 한 개의 명령어로 표현 BRE R1, R2, X (Branch if Equal) : R1과 R2를 비교하여 같으면 X로 분기 -무조건 분기 BR : 조건 없이 무조건 분기 서브루틴 :사용자가 원해서 메인에서 진행을 하다가 다른 코드 블럭에 가서 처리하고 결과를 얻는 것 ↔ 인터럽트: 사용자 요청.. 2020. 5. 29.
[WEEK3] 메모리 구조와 레지스터의 종류 문제 1. 컴파일 타임에 크기가 결정되는 메모리영역은? ①코드 영역 ②데이터 영역 ③힙 영역 ④스택 영역 2.다음 설명하는 메모리 영역은? 프로그램 전역 변수와 정적 변수가 저장되는 영역 프로그램 시작과 동시에 할당되고, 프로그램이 종료되면 메모리가 소멸된다 ①코드 영역 ②데이터 영역 ③힙 영역 ④스택 영역 3. 다음 중 32비트 환경에서 함수의 리턴값이 저장되는 범용레지스터는? ① EAX ② ESI ③ESP ④EBP 4. 다음 중 레지스터의 설명으로 알맞지 않은 것은? ①CPU가 요청을 처리하는 데이터의 임시저장 공간이다 ②CPU와 직접 연결되어 있지는 않지만 매우 가까이 있어 연산 속도가 빠름 ③CPU는 자체적으로 데이터 저장이 불가해 레지스터를 이용해 연산 처리 및 번지 지정을 도와줌 ④컴퓨터 장치.. 2020. 5. 22.
[WEEK3] 명령어를 효과적으로 실행하기 위한 기법 문제 1.다음 주소의 정의 내용와 표기 방법이 바르게 연결되지 않은 것은? ①유효 주소 - EA ②기억장치 주소 - M ③레지스터 번호 -R 2. 다음 중 데이터 인출을 위해 기억장치에 접근하지 않는 방식은? ①직접 주소지정 방식 ②레지스터 주소지정 방식 ③상대 주소지정 방식 ④베이스 레지스터 주소지정 방식 3. 주소 지정 방식 중 아래 설명하는 방식은? -오퍼랜드 필드에 유효 주소의 주소가 저장되는 방식 -실제 데이터를 가져오기 위해 메모리를 2번 이상 참조해야 함 ①간접 주소지정 방식 ②레지스터 주소지정 방식 ③레지스터 간접 주소지정 방식 ④상대 주소지정 방식 4. 빈칸에 알맞은 말을 쓰시오 1)CPU프로그램 처리 속도를 높이기 위해 명령어를 여러 단계로 나누어 동시에 처리하는 기술을 ( ① )라고 .. 2020. 5. 22.
[컴퓨터 구조 WEEK2 (2)]27기 김희진 –수정사항 2020. 4. 25.
[컴퓨터 구조 WEEK2] 27기 김희진 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 퀴즈 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 정답 2020. 4. 18.
[컴퓨터구조 WEEK 1]27기 김희진_과제 2020. 4. 12.